fbpx

남아공 의약품 시장동향

Posted by NEOKOREA
Category:

□ 의약품 HS코드 

 

ㅇ 장기요법용 선(HS 3001), 면역혈청 및 관련품(HS 3002), 소매용 의약품-포장 제외(HS 3003), 소매용 의약품-포장(HS 3004)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시장동향) 아프리카 진출의 교두보로 다국적 제약회사들의 남아공 진출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

– 한국 제약회사들도 남아공의 대형 의약품업체와 공급계약을 맺는 등 진출이 가속화되고 있음.

 

ㅇ (시장규모) BMI에 따르면 남아공 시장 규모(전문의약품, 오리지널의약품, 제네릭의약품, 일반의약품 포함)는 2016년 28억 달러, 2017년 32억 달러로 추산돼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의 최대 규모로 가장 발달된 의약품 시장을 보유함.

 

남아공 의약품시장 규모

(단위: 백만 달러, %)

품목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매출액

3,172

2,846

3,245

3,241

3,375

3,545

3,742

증감률

-7.33

-10.28

14.02

-0.12

4.13

5.04

5.56

자료원: BMI

주: 2017~2021년은 추정치임.

 

ㅇ (시장특징) 기존 오리지널 의약품이 있지만 최근 의료 접근이 확대되고 정부가 제네릭 의약품 선호 정책을 펼치면서 저가인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음.

– 지방정부 산하 약학치료위원회(PTC: Pharmacy and Therapeutics Committees)가 정부 의약품 목록을 선정하며 지역별 거주자의 소득수준에 따라 고가 의약품에 대한 접근성 격차가 큼.

 

□ 수입 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 동향

ㅇ (수입규모) 남아공의 의약품 수입 비중은 수출 비중보다 약 5배 큰 편으로 2017년에는 총 21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19%가량 증가함.

– 2012년부터 약 19억~20억 달러를 유지해 왔으나 2016년에는 경기침체로 전반적인 수입이 줄어들면서 의약품 역시 전년 대비12.4% 낮은 17억8400만 달러로 감소했음.

– 남아공에 진출한 다국적 제약회사들은 주로 저렴한 항레트로바이러스제(ARVs) 또는 기초 의약품을 생산해 인근 아프리카로 수출함.

 

최근 3년간 남아공 의약품 수입동향

(단위: 백만 달러, %)

품목명

HS 4단위

2015

2016

2017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의약품(소매용 또는 포장)

3004

1,656.64

5.2

1,424.52

-14

1,713.67

20.3

면역혈청 및 관련품

3002

341.20

14.0

334.94

-1.8

386.14

15.3

의약품(소매용 또는 포장 제외)

3003

34.11

2.4

20.85

-38.9

18.34

-12.1

장기요법용 선(腺)

3001

3.88

-17.4

3.76

-3.3

3.51

-6.6

총계

2,035.83

6.5

1,784.07

-12.4

2,121.65

18.9

자료원: WTA

주: HS Code 3001, 3002, 3003, 3004 합산 기준

 

ㅇ (주요수입국) 최대 수입국은 인도로 인도산 저렴한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예상됨.

– 대인도, 프랑스, 독일, 미국 수입이 전체 수입 시장의 약 65%를 점유함.

– 2016년 전반적으로 수입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대프랑스 수입은 전년 대비 14.7% 상승함.

 

2017년 남아공 의약품 주요 수입국

(단위: 천 달러, %)

국가 수입액 비중
인도 490.78 23.1
프랑스 275.51 13.0
독일 232.61 11.0
미국 192.02 9.1
아일랜드 132.95 6.3
이탈리아 107.41 5.1
영국 90.29 4.3
스위스 72.95 3.4
스페인 64.64 3.0
벨기에 63.05 3.0

자료원: WTA

주: HS Code 3001, 3002, 3003, 3004 합산 기준

 

□ 대한 수입 규모 및 동향

ㅇ 2016년까지 하락세를 보였으나 2017년에 수입이 전년 대비 121.3% 성장해 79만 달러에 달하면서 2013년 수출이 80만 달러에 근접

– 소매용 의약품(HS 3004) 수출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 왔으며 2017년에는 전년 대비 44% 급증함.

– 2017년 면역혈청 및 관련품(HS 3002) 수출은 급증한 반면 장기요법용 선(HS 3001) 수출은 전무

 

남아공 의약품 대한 수입동향

(단위: 천 달러, %)

국가명

2014

2015

2016

2017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남아공

639.03

-20.9

447.64

-30.0

360.40

-19.5

797.63

121.3

자료원: WTA

주: HS Code 3001, 3002, 3003, 3004 합산 기준

 

□ 경쟁동향

ㅇ 여러 다국적 제약회사가 남아공에 상주하고 있으며 Pfizer, GlaxoSmithKline과 Sanofi는 현지 생산공장을 운영함.

– 백신, 항감염제, 당뇨치료제 등 수요가 높은 의약품을 공급하며 주요 고객층은 도시 인구임.

ㅇ 남아공의 대표 현지 의약품 생산기업은 Aspen Pharmacare와 Adcock Ingram으로 주로 일반의약품 생산에 집중

– 이 기업들은 우수제도관리기준(GMP: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인증과 세계보건기구의 품질인증(WHO Pre-Qualification)을 보유하고 있어 품질이 낮은 인도 및 중국 기업들 대비 경쟁우위를 확보함.

 

□ 유통구조

 

의약품 유통채널

자료원: KOTRA 요하네스버그 무역관 자료

 

  ㅇ 의약품 수출입은 1965년 제정된 Medicines and Related Substances Control Act에 의거해 규제를 받으며 수입면허는5년마다 갱신 가능

ㅇ 남아공 의약품시장의 수입의존도는 매우 높은 편으로 수입상 및 유통업체 선정이 매우 중요

– 한국 생산업체가 민간 의료기관에 납품할 경우 유통업체를 통해 공급하는 것이 편리하며 남아공에 법인이 존재하지 않으면 정부 입찰 참가가 불가하므로 현지 기업과 합작 필요

 

□ 관세, 수입규제, 인증

ㅇ (관세) 의약품 및 그 원료(HS Code 3001, 3002, 3003, 3004)에 대해서는 무관세로 수입 가능

ㅇ (비관세장벽) 포괄적 흑인경제 육성법(BBBEE: Broad-Based Black Economy Empowerment Act)을 통해 자국 업체를 보호하고 있음.

– 정부 입찰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해당 법 하의 자격 요건을 반드시 갖추어야 하고 등급마다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있어 외국 업체의 경우 현지 업체를 통한 납품이 일반적임.

ㅇ (등록/인증) 체계적인 등록절차 마련 및 재원 확보 등을 위해 남아공 정부는 기존 의약품규제의원회(MCC)의 업무를 이관해 남아공 보건기기규제이사회(SAHPRA)를 신설. SAHPRA를 통해 등록 및 인증을 진행해야 함.

 

□ 전망 및 시사점

 

ㅇ 정부 차원에서 의약품 가격 절감 조치를 마련하고 있으며 고가 의약품의 경우 지역별 접근도가 상이하다는 것을 고려해 지방 정부별로 진출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ㅇ 현지 파트너와 협력하면 복잡한 등록 및 인증 절차를 보다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남아공 정부는 현지 생산 확대를 도모하고 있어 외국 회사는 정부 조달에 참여할 수 없기 때문에 현지 파트너와의 협력이 중요함.

– 매년 남아공에서 개최되는 아프리카 의약품 박람회를 적극 활용할 것을 권장함.

 

ㅇ 불안정한 랜드화 환율에 대한 대비 강조

– 미국 국채 금리인상 및 달러 강세 기조에 따라 남아공의 랜드화 가치가 불안정한 상황이므로 꾸준한 모니터링이 필요함.

 

 

자료원: KOTRA 요하네스버그 무역관 자료 종합

Leave a Reply

This website uses cookies and asks your personal data to enhance your browsing experience. We are committed to protecting your privacy and ensuring your data is handled in compliance with the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GD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