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px

앱이 사라진다? 중국 미니 앱 서비스의 고속 성장

Posted by NEOKOREA
Category:

□ 중국 미니 앱 시장 동향

 

 

자료원: 바이두(百度)

   ○ 미니 앱(小程序, 샤오청쉬)이란 기존 앱과 달리 다운로드  설치 과정 없이 QR코드 스캔이나 주변 검색 등으로 즉시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스트리밍 서비스임.

    – 2017년 1월 9일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 텐센트의 위챗 미니 앱은 2018년 6월 기준 누적 사용자 수가 6억 명을 돌파함.

    – 텐센트는 위챗 미니 앱 서비스 출시 후 16개월 만에 150만여 명의 미니 앱 개발자, 100만여 개의 미니 앱을 확보했고, 미니 앱 중 jd.com(京东, 징동), PINDUODUO(拼多多, 핀뚸뚸)와 같은 제3자 플랫폼 5000여 개가 포함됨.

    * 제3자 플랫폼이란 타오바오와 같이 소비자와 판매자 사이를 중개하는 플랫폼을 지칭함.

 

기존 앱과 미니  비교

 

기존 앱

미니 앱

다운로드 및 설치

필요

불필요

내부 저장공간 점유

점유

점유하지 않음

회원 가입 및 로그인

필요

불필요(위챗 연동)

개발

안드로이드, iOS 별도 개발

운영체제 무관

데이터 환경

오프라인 일부 지원

온라인 환경 필수

 

위챗 & 위챗 내 미니 앱 누적 사용자 수 동향

 

자료원: 지쑤잉용(即速应用), KOTRA 난징 무역관 정리

 

  ○ 2017년 1월 텐센트의 위챗 미니 앱 출시 이후 2017년 5월 알리바바의 알리페이 미니 앱이, 2018년 7월에는 바이두 미니 앱이 정식 출시됨.

    – 2017년 10월 기준 월 평균 일반 앱 신규 설치 횟수는 3.03개로 전년 동기 대비 12.4% 감소한 반면, 미니앱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챗, 알리페이 및 바이두 앱의 다운로드 횟수는 대폭 증가하여 미니 앱이 기존 앱 영역을 흡수하고 있음을 시사함.

 

BAT 미니  서비스(왼쪽부터 바이두, 알리페이, 위챗)

 

자료원KOTRA 난징 무역관 캡처

 

□ 위챗 미니 앱의 발전 동력

   이용자 수가 10억 명에 육박하는 위챗 플랫폼을 바탕으로 위챗 사용자간 공유(分享), 공식계정(公众号) 등을 위주로 빠른 확산 속도를 보임.

    * 공식 계정(公众号, 공종하오)은 한국 카카오톡에서 제공하는 ‘기업 플러스 친구’와 유사한 마케팅수단으로, 위챗 내 친구추가를 통해 구독자가 원하는 기업의 공식 계정을 팔로우할 수 있어, 해당 기업의 최신 소식과 제품 정보 및 이벤트 쿠폰 등을 받아볼 수 있음.

    – 위챗 앱 내에서 설치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미니 앱의 특성상 재방문율이 적었으나, 대중들에게 미니 앱 사용이 점차 익숙해지고, 2017년 말 출시한 미니 앱 게임 항목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재방문율이 크게 상승함.

 

선풍적 인기를 끌며 위챗 미니 앱을 홍보한 미니게임 점프점프(跳一跳, 탸오이탸오)

 

자료원: 바이두(百度)

 

미니   사용  일별 재방문율 변화

 

자료원: 알라딘 지수(阿拉丁指数), KOTRA 난징 무역관 정리

 

위챗 미니  주요 접속 경로

 

자료원: 지쑤잉용(即速应用), KOTRA 난징 무역관 정리

    – 위챗 사용자 간 공유(分享) 및 위챗 내 공식 계정(公众号)이 미니 앱 접속의 가장 주된 경로이며 위챗 플랫폼 내에서 사용자 수 자체 확산에 성공함.

    – 2017년에 비해 큰 폭으로 상승한 위챗 메뉴 내 직접 접속(下拉任务栏) 대중들에게 미니  사용이 익숙해졌음을 보여줌.

  ○ 개발자, 이용자 모두에게 접근이 용이함.

    – 정식 앱에 비해 개발 기간이 짧고, 개발 난이도 역시 낮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운영체제에 구애받지 않아 개발 비용이 적게 투입됨.

    – 위챗 내 모바일 결제 기능과 연동이 용이하여 개발자의 수익 창출 및 이용자의 소비 편리성을 확보함.

    – 다운로드 및 설치가 필요하지 않아 사용 빈도가 비교적 적은 앱을 이용할 경우에도 부담감이 적음.

    – 스마트폰 사용이 미숙한 중·장년층과 내부 저장공간이 부족한 보급형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소비자층에게도 접근성이 뛰어남.

  ○ 온·오프라인 연결을 현실화함.

    – 맥도날드, 월마트 등 각종 기업은 미니 앱을 통해 할인권 발송, 위챗 결제 기능 연동 제공 등 접근성을 더욱 강화하여 오프라인 상 매출을 끌어냄.

    – 기존 앱보다 편리한 접근성으로, 대형 기업뿐만 아니라, 소규모 상점에서도 자체 미니 앱을 제작·운영할 수 있게 됨.

 

□ 주요 위챗 미니 앱 분석

   미니 앱과 위챗의 편리한 공유 기능을 바탕으로 미니게임(小游戏) 분야의 점유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모바일 쇼핑(网络购物), 교통 서비스(出行服务), 정보 서비스(内容资讯), 여행(旅游), 생활 서비스(生活服务), 음식 서비스(餐饮) 분야 순으로 뒤를 이음.

 

7월 위챗 미니 앱 분야별 점유율

 

자료원알라딘 지수(阿拉丁指数), KOTRA 난징 무역관 정리

 

기업별 기존   미니  운영방식

자료원: QuestMobile, KOTRA 난징 무역관 정리

 

2018년 7월 위챗 미니 앱 순위

*지수 산출 기준: 인기도+검색빈도+사용빈도+공유빈도를 합산해 산출

 

자료원알라딘 지수(阿拉丁指数), KOTRA 난징 무역관 정리

 

  ○ 앱 제작 전문업체 I사 Y씨 인터뷰

Q1. 최근 스마트폰 사용자들에게 미니 앱에 대한 관심도는 어떠한가?

A1. 미니 앱은 위챗, 바이두, 알리페이 등 플랫폼을 교량삼아 기존 앱이 가지고 있는 기능을 흡수·발전했다. 사용자들에게 미니 앱은 이미 하나의 습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Q2. BAT가 모두 미니 앱 서비스를 출시함에 따라 기존 앱 시장은 어떻게 변할 것으로 예측하는가?

A2. 기존 APP 시장은 당연히 변화가 있을 것이다. 미니 앱은 개발 및 유지 비용이 저렴한 특징을 앞세워 점차 하나의 브랜드화되어 갈 것이다. 기존 앱 시장은 이에 반응하여 접근성을 강화할 방도를 모색할 것이다.

 

Q3. 향후 미니 앱 서비스가 안드로이드나 iOS를 뛰어넘는 플랫폼이 될 것으로 보는가?

A3. 미니 앱이 기존 플랫폼을 뛰어넘기 위해서는 더욱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독립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지 기반이 필요하다. 하지만 미니 앱의 플랫폼화는 단지 시간 문제라고 생각한다.  

자료원: KOTRA 난징 무역관 인터뷰

 

□ 전망 및 시사점

  ○ BAT뿐만 아니라 중국 주요 스마트폰 제조업체가 미니 앱 서비스를 주목하고 있어, 미니 앱 서비스 시장의 지속적인 발전이 예상되며, 자체 앱을 보유한 기업 역시 위챗 등 미니 앱 서비스 플랫폼 상에 추가로 미니 앱을 등록하는 추세에 있어 관련 시장의 확대 양상이 뚜렷함.

    – 샤오미, 화웨이, OPPO, vivo 등 중국 주요 스마트폰 제조업체 10곳이 연대해 2018년 3월, 미니 앱 개발 계획안을 발표함.

    – 미니 앱 플랫폼 업체 지쑤잉용에서는 향후 스마트폰에서뿐만 아니라 태블릿 PC, 데스크톱에서도 미니 앱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라 전망함.

    – 위챗 미니 앱 플랫폼 전문 분석업체 알라딘에서는 2019년 전까지 위챗 내 미니 앱이 300만 개에 다다를 것이며, 인공지능의 도입 역시 활발해질 것이라고 예측함.

  ○ 스마트폰 운영체제에 구애받지 않는 미니 앱 플랫폼이 성장함에 따라 운영체제별 분리되어 있던 기존 앱 시장의 발전 양상이 바뀔 것으로 예상됨.

  ○ 중국 내 미니 앱의 기존 앱 시장 흡수 경향이 확산됨에 따라 진출 기업은 기존 형식의 일반 앱 운영뿐만 아니라 미니 앱 출시도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함.

 

 

자료원: 바이두(百度), 지쑤잉용(即速应用), 알라딘 지수(阿拉丁指数), QuestMobile, KOTRA 난징 무역관 인터뷰

Leave a Reply

This website uses cookies and asks your personal data to enhance your browsing experience. We are committed to protecting your privacy and ensuring your data is handled in compliance with the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GD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