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라면 시장동향
– 우리나라가 태국 수입 라면시장 석권 –
– 태국 업체들의 잇단 ‘한국 스타일’ 라면 출시 –
– 튀기지 않았거나 건강한 식재료로 만들어진 라면들이 틈새시장 공략 –
□ 상품명 및 HS Code
○ 라면(HS Code 1902.30): 그 밖의 파스타류
□ 시장 규모 및 동향
○ 2017년 기준 태국의 라면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3.7% 증가한 156억 밧(4억 7900만 달러)으로 추정되며, 태국은 세계 9위의 라면 소비 대국임(Thai President Foods PLC, 세계라면협회(WINA)).
– 태국인들은 2017년 한 해 동안 33억9,000만 그릇의 라면을 소비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1인당 1년에 약 49그릇의 라면을 소비한 것과 동일(IMF 기준 2017년 태국 인구: 6910만 명)
연도별 태국 라면 소비량 추이(2013~2017년)
(단위: 백만 그릇)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시장규모 |
3,020 |
3,070 |
3,070 |
3,360 |
3,390 |
자료원: 세계라면협회(WINA: World Instant Noodle Association)
세계 15대 라면소비 대국 및 소비량(2017년 기준)
(단위: 백만 그릇)
자료원: 세계라면협회(WINA)를 바탕으로 포지셔닝 작성
□ 라면 수입동향
○ HS코드 1902.30 기준 태국 라면 수입규모는 최근 3년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17년 수입규모는 전년 대비 97.7% 증가한 2626만 달러를 기록
– 태국의 최대 라면 수입국은 우리나라로 2017년 기준 전체 수입의 74.7%의 비중인 1961만 4000 달러의 라면을 수입하였으며, 이는 전년 대비 221.2% 증가한 수치임
– 2위는 중국으로 중국산 라면은 전년 대비 23.6% 증가한 163만 2000달러가 수입되었으나 비중은 6.2%로 1위인 우리나라와의 격차가 매우 큼.
– 이탈리아, 일본, 인도네시아로부터의 수입 비중은 각각 5.2%, 5.1%, 1.7% 수준으로 3, 4, 5위를 차지
– 일본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적은 이유는 거대 일본 업체들이 태국 직접투자를 통해 현지에서 라면을 생산하고 있기 때문임.
태국 라면 수입시장 (HS Code 1902.30) 동향 및 주요 수입국 현황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국가 |
수입액 |
시장 점유율 |
증감률 |
||||
2015 |
2016 |
2017 |
2015 |
2016 |
2017 |
17/16 |
||
0 |
전체 |
9,215 |
13,286 |
26,260 |
100.0 |
100.0 |
100.0 |
97.7 |
1 |
한국 |
2,824 |
6,106 |
19,614 |
30.7 |
46.0 |
74.7 |
221.2 |
2 |
중국 |
1,329 |
1,320 |
1,632 |
14.4 |
9.9 |
6.2 |
23.6 |
3 |
이태리 |
1,258 |
1,264 |
1,358 |
13.7 |
9.5 |
5.2 |
7.4 |
4 |
일본 |
1,109 |
1,277 |
1,332 |
12.0 |
9.6 |
5.1 |
4.3 |
5 |
인도네시아 |
1,242 |
1,356 |
448 |
13.5 |
10.2 |
1.7 |
-67.0 |
6 |
말레이시아 |
389 |
346 |
430 |
4.2 |
2.6 |
1.6 |
24.1 |
7 |
홍콩 |
239 |
197 |
246 |
2.6 |
1.5 |
0.9 |
25.0 |
8 |
미국 |
134 |
196 |
228 |
1.5 |
1.5 |
0.9 |
16.3 |
9 |
태국 |
22 |
37 |
176 |
0.2 |
0.3 |
0.7 |
381.2 |
10 |
프랑스 |
117 |
102 |
170 |
1.3 |
0.8 |
0.7 |
66.5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 태국 라면 시장은 마마(Mama), 와이와이(Waiwai), 얌얌(Yum Yum) 3개 브랜드가 전체 라면 시장의 89%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11%는 소형 브랜드 및 수입산 라면이 차지
– 태국 라면 시장의 선두는 사하 파타나피분 주식회사(Saha Pathanapibul PCL)의 대표 브랜드인 ‘마마’로 전체 태국 라면 시장의 46%를 점유
태국 라면시장 점유율(2017년 기준)
자료원: Thai President Foods PLC
태국 내 주요 라면 제조업체 현황
(단위: 백만 밧)
기업명 |
브랜드 |
매출액 (2017년) |
비고 |
Saha Pathanapibul Public Co., Ltd. |
Mama Oriental Kitchen Ramen |
32,071.7 |
– 시라차, 람푼, 라용주에 제조공장 보유 – 태국 최대 라면 제조업체이자 상장기업 |
Thai Preserved Food Factory Co., Ltd. |
Wai Wai Quick |
6,549.3 |
– 나콘파톰주에 제조공장 보유 |
Ajinomoto Company (Thailand) Limited |
YUMYUM Yum Yum Me Plus |
25.958.2 |
– 1960년 태국 진출 – 방콕에 제조공장 보유 – 라면 및 조미료 제조 |
Nissin Foods (Thailand) Co., Ltd. |
NISSIN |
774.9 |
– 1994년 태국진출 |
Monde Nissin (Thailand) Co., Ltd. |
Lucky Me! |
1.004.3 |
– 파툼타니주에 제조공장 보유 – 한국, 일본 등 오리엔탈 스타일 라면 제조 |
자료원: Corpus BOL, 업체 홈페이지
○ 태국의 맛과 향이 강한 라면부터 중국·일본·한국 라면들이 고루 판매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농심, 삼양, 오뚜기, 팔도라면 등의 다양한 라면이 판매되고 있음.
태국에서 판매 중인 라면 예시
브랜드 | 제품 예시 | ||
MAMA | 새우 똠얌 맛 55g, 6밧 / 다진 돼지고기 맛 60g, 6밧 / 똠얌 맛(컵) 60g, 13밧 |
||
Wai Wai | 돼지고기 똠얌 맛 60g, 6밧 다진 돼지고기 맛(버미셀리) 60g, 6밧 |
||
Ramen | 오리지널 60g, 15밧 스파이시 미소 60g, 15밧 |
||
Lucky Me | 덴뿌라 우동 120g, 39밧 |
||
Nissin(일본) | 스파이시 돈코츠 100g, 31.5밧 |
||
Jinmailang (중국) |
매운 돼지고기 핫팟 117g, 35밧 |
||
Noodle King (홍콩) |
전복 닭고기 수프 70g, 35밧 |
||
Nongshim | 신라면 120g, 45밧 |
신라면(컵) 68g, 45밧 |